서로 다른 2개의 무선 공유기가 있습니다

 

두대의 공유기를 유선으로 연결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도 많습니다

여기서는  서로다른 2대의 공유기를 무선으로 브릿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실험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두대의 공유기를 유선으로 브릿지 시키는 방법은 많이들 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1. 공유기  A에 공유기 B를 유선으로 연결할때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는,  A와 B의 내부 아이피만 변경한 상태에서 연결해주는 방법입니다

                원룸이나  독서실 기숙사 고시텔(원) 등에서 많이 쓰는 방법입니다

 

                위에 있는 공유기가 아이피가 192.168.0.1 이라고 가정한다면  아래에 있는 공유기는

                192.168.2.1 이렇게 서로 아이피가 다르면 됩니다

 

                 일단 선부터 연결하고 셋팅을 하시려는 분들이 계신데 그렇게 하면 꽂자마자 즉시 충돌을 일으키므로

                 반드시, 내부 아이피 변경작업부터 한후에 가장  마지막 순서로 랜선을 연결해줘야 됩니다

 

                 공유기를 무슨  특별한 기기로 생각하면 생각도 안드로메타에가 있게되어 스스로 어렵다고 생각하게되므로

                 공유기를 하나의 PC라고 생각하셔야 이해가 쉽습니다

 

                 실제로 공유기는   공유작업을 하는 초소형 컴퓨터입니다

                 일반 PC처럼   CPU/메모리/메인보드/저장장치/OS여기에 허브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죠

 

 

                  아래와 같은 구성은 둘다 공유기모들 동작하게 되어  2개의 공유기내부에는 DHCP가 모두 활성되어있고

                  두대다 무선공유기 경우에는 2대의 와이파이가 구성됩니다

 

                  단점이 있다면  상위공유기와 하위공유기의 네트워크군이 달라서  전체네트워크가 하나로 공유할수 없고

                  각각의 공유기별로 독립적으로 분류되어 동작한다는것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공유기 A,B의 내부아이피를 각각 다르게 변경후, A공유기의 LAN포트에서

                  B공유기의 WAN포트로 연결한것을 볼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A공유기를 공유기모드로,  두번째 공유기를 허브모드로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허므모드의 의미는,    공유기=DHCP서버+허브 로 구성중, DHCP서버를 중단하고 허브기능만 남기는것을

                     의미합니다

 

                    공유기에 유/무선으로 물린 다수의 기기에 자동으로 아이피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하는게 바로 이 DHCP서버입니다

                    공유기 없이 컴퓨터만 연결해도 자동으로 아이피를 받게 되는데, 이는 해당 통신사의  DHCP서버로부터 받게되는

 

                    공인아이피 입니다

 

                    공유기 내부의 DHCP서버를 중지시킨다고 해서 DHCP서버가  완전히 사라지고  순수한 허브만 남게 되는것은 아닙니다

                    단지 자동으로 아이피를 분배하지 못할뿐이지, 수동으로 PC에 아이피를 입력하면  인터넷에 접속할수 있게 됩니다

                    

                    연결방법은  상위의 공유기는 그대로 둔채,  하위의 공유기와 PC만  연결한채  공유기 내부로 진입한후

                     내부 네트워크설정에서  DHCP를  중지 시킨후,   상위공유기의  랜포트와 하위 공유기의 랜포트를 서로 연결해줍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서로 랜포트끼리 연결해주면 됩니다.

 

 


 

 

        여기까지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공유기 2대의 유선 연결방법입니다

 

 

        이제 2대의 무선공유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보도록 하죠

        무선 공유기 2대를 연결하는 기본 개념은 위의 그림 2장과 비슷하지만, 공유기 A와 B를 연결한 선이 없다는게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무선 브릿지 방법에도   

        공유기모드+공유기모드  이렇게 연결하는 방법이 있고     공유기 모드 + 허브모드 이렇게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선과 달리 무선 브릿지를 할때에는 둘중에 한대에 반드시 무선 브릿지 기능이 있어야 하며

 

        대표적인 제품으로  IPTIME 무선 공유기가 있습니다

        이 무선브릿지 기능이 있는 공유기가 슬레이브로 위치하게 됩니다.

 

        무선브릿지는  무선랜카드로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듯이  SSID네임을 찾아 연결하는 방식이기때문에

        마스터가 될수 없고 슬레이브가 되어야 하기 때문인것이죠

 

        2대의 무선공유기를 브릿지 시킬때에는  2개의 공유기 모두 N ONLY모드로 설정하는게 속도도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아무래도 무선이다보니 싸구려 저질 공유기를 무선 브릿지시키는것은 피하는게 좋으며  안정성이 입증된 공유기끼리 

 

        브릿지시키는게 좋습니다

 

        특히 무선끊김이 잦은  공유기들은  절대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해봤자 죽어라 끊길게 뻔하기 때문이죠

 

       아래의 스샷 2장은  버팔로 공유기를 메인으로 두고  IPTIME N6004를 슬레이브로 상태에서 둘다 공유기 모드로 두고

       무선으로 브릿지 시킨것입니다

 

       유선으로 공유기 2대 연결할때와 마차가지로  두대의 공유기의 내부 아이피는 서로 달라야 합니다

 

       버팔로공유기에서 첫번째 와이파이를 구성하고 있고 

       여기에 하위로 무선브릿지 시킨 N6004가 두번째 와이파이로 동작하고 있습니다

 

       이 무선  WAN기능은 모든 기종이 되는것은 아니고 칩셋에따라 다릅니다

       스마트폰에 많이 사용하는 브로드컵 칩셋은 무선 WAN을 지원하지않고  "멀티 브리지로 사용 (허브모드)만" 지원합니다

 

       무선 WAN이란,

       

       WAN포트에 유선랜이 연결되지 않고  대신, 버팔로공유기로부터 날라온 무선 신호가 WAN에 연결된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공유기에 어댑터만 덜렁 꽂아두었는데  여기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하면 인터넷이 되는것이죠

 

       이 광경을 처음 목격하는 분들은   공유기에 어댑터만 꽂아두어도 인터넷이 되는줄 착각하기 쉽습니다

 


   

 



출처: http://goo.gl/RFAKvK


 

Master 공유기는 유선인터넷이 연결되어있고 설정을 할게 없습니다.

Slave  공유기는  PC에 유선으로 연결하고 내부설정으로 들어가 다음과 같이  내부 아이피를 변경하고

 

변경된 아이피로 다시 진입하여  반드시 "저장" 을 클릭해야 변경사항이 풀리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멀티브릿지(허브모드)가 아닌 무선  WAN모드로  설정하였으며

 

인터넷 연결 상태에   " 무선 WAN" 이라고 되어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무선 WAN과 달리,  무선 멀티 브릿지는 슬레이브 공유기인  N6004의 내부 DHCP를 중지시키고 무선허브로 연결하는것을

 뜻합니다

 

무선 WAN 으로 -   마스터(공유기모드)  + 슬레이브(공유기모드)


                       ->  ( 제각각 DHCP 따로 동작)



멀티 브릿지로  -    마스터(공유기모드)  + 슬레이브(허브모드)  

 

                       -> (마스터공유기의 DHCP 만 동작/ 전체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일됨)


 

 "멀티 브릿지로 사용"메뉴를 선택하고, 내부네트워크설정에서 DHCP를 중지하고 무선 AP 검색을 통해 연결시키면 되는데

  연결상태도 그렇고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어서 이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멀티브릿지를 지원하는   여분의 공유기가 있으면  이걸  무선랜카드 대용으로 활용하면 딱 좋습니다

 안테나 2개짜리 무선 공유기를 무선브릿지시켜 무선안테나로 사용하고  이 브릿된 하위 공유기에  와이파이기기도 연결하고

 

 데스크탑을 유선으로도 연결할수 있기 때문에 꽤 유용하게 쓰입니다

 

 다만, 조건이 있다면 두개의 공유기간의 브릿지 감도가 매우 우수해야하며,  싸구려 저질 공유기가 아니어야 하며

 안테나 2개짜리이상의 제품을 쓰는게 좋습니다

 

아이파티임 공유기의 무선 브릿지 기능은 놀고있는 무선 공유기를  랜선 연결없이 확장된  유/무선 공유기로 활용할수 있다는 점에서

꽤 매력적입니다.

 

SLAVE로 브릿지된 공유기에  데탑을 유선으로 연결하고, 와이파이도 연결하고   쓸수 있는데

처음보는 분들은  , 인터넷 선도 연결된 공유기에 데탑연결해서 인터넷하고 게임하과  노트북이나 맛폰으로 무선으로

연결해서 쓰는거보 신기해합니다

 

인터넷 설치 기사분들도  경험이없는 분들은 " 인터넷선 연결도 안했는데, 공유기로 인터넷 되요? 이상하넹... " 

무척 신기해 합니다. -_-;;;

 

 

단, 이 기능은 칩셋에 따라 지원이 안되는게 있으므로  구입할때 유의하셔야 합니다

 

무선멀티 브리지가 지원되는 제품은 N104M. N604M, N704M, N104R, N604R, N6004, N6004M,등이 있으며


A,S,i 제품 이외의 거의모든 11n 제품이 지원되는걸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A,S,I이는 는 모두 브로드컴 칩셋을 적용한 모델이며, 칩셋에서 멀티 브릿지 기능중 무선 WAN  부분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무선브릿지후 유선으로만 사용 가능*)

(*이부분에서 무선허브로 동작시 아이피가 자동으로 할상 안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부분은 아이파타임 기술팀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멀티 WAN기능이 동작하는 공유기에서는 무선허브로 변경해도 메인공유기로부터 아이피를 자동할당받는게 확인되었으나

   멀티 WAN기능이 없고 멀티 브릿지만 동작하는 기기에서는 무선허브로 연결시 아이피 할당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단지,  브로드컴칩셋의 지원 여부의 문제로 추정될분, 펌웨어나 기타 하드웨적인 문제인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기술상의 문제인지라 아이피타임 기술팀에서 지원 해주길 기대해야겠죠

 

   

 

그런데 예외적으로   N704A같은건  A 모델이지만 라링크 칩셋을 장착한 모델이라 지원이 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모델명만 보시면 안되고 반드시 세부스펙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A,S.I 모델에도   내부 펌웨어에는  멀티브릿지,  무선 WAN 항목이 모두 있지만,   무선 WAN부분은 설정을 해도 동작을

하지 않고 유선으로만 동작합니다.

 

즉,  슬레이브로 브릿지된 공유기에  PC를 유선으로 연결해야 사용가능하며,  무선 WAN을 지원하는 모델은

유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무선으로 슬레이브에 접속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 무선 WAN 부분은 와이파이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굉장히 유용하게 쓰이며 WDS와 달리 타사 공유기와도 혼용해도

잘 동작 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넓은 평수에 사용하면서 비싼 공유기와 비싼 랜카드만 찾아 헤매이시는분들이 계신데

이렇게 무선 WAN을 지원하는 공유기를 적절하게 배치하면 10만원 넘어가는 고가의 공유기보다

 

훨씬 빠르고 안정적인 와이파이망을 구축할수 있습니다.

 

단, 안테나 1개짜리보다는 2T/2R를 지원하는  안테나 2개짜리 모델을  추천합니다.

 

 

 

원본 주소 : http://blog.naver.com/byh2010/10130841463

 

 

 

내용추가 : 무선 WAN 으로 설정하면 포트끼리 연결하는 선이 있어야 마스터, 슬레이브 둘다 WIFI가 됩니다.

            (연결안할시 마스터공유기만 WIFI가능)

 

            멀티 브릿지로  연결하면 포트끼리 연결선이 없어도 마스터공유기가 무선으로 신호를 쏴서 슬레이브 공유기는

            전원만 꼽아도놔도 자유롭게 마스터, 슬레이브 둘다 WIFI를 즐길수 있습니다. 

[출처] [펌] 유무선 공유기 2대 브릿지 시키기 (유선브릿지, 무선브릿지)|작성자 어린왕자


 

: